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래구(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동래구 문서
동래구번 문단을
동래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동래구/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동래구
동래구 일원
東萊區
Dongnae
||
파일:국회선거구 동래구.svg
선거인 수272,261명 (2020)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동래구 전역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신설년도2000년
이전 선거구동래구 갑, 동래구 을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희곤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2.1. 동래구 갑[1] (13대~14대)
2.2. 동래구 갑/을 (15대)
2.3. 동래구 (16대~)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선거구 중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겪은 선거구 중 하나인데 이는 동래구가 시간이 갈수록 행정구 분리를 겪으면서 그 영역이 축소되었기 때문이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지금의 금정구를 동래구에서 떼어내 신설하면서 지금의 동래구 지역을 동래구 갑, 지금의 연제구 지역을 동래구 을로 편성하였다. 그러나 1995년 3월에 연산동거제동을 동래구에서 떼어내 연제구를 신설하면서 선거구가 다시 조정되었다. 남은 동래구의 동들 중에서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안락동, 명장동을 동래구 갑으로 온천동사직동을 동래구 을로 편성했다. 이후 동래구의 인구가 줄면서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단일 선거구로 합쳐져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이 지역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김희곤이다.

이 지역은 1960년대 부터 대규모 주택지로 개발되어 가구주의 평균연령이 높고 중장년 인구가 많은 곳이라 보수 성향이 강한 동네 중 하나이다. 다만 사직동엔 3040대 인구가 많아서 해당 지역에선 보수세가 약한 편이다. 1981년 이전까지는 그래도 민주당계 정당 이었던 이기택이 3선을 하는 일이 있었지만 1981년 김진재의 당선으로 3당 합당 이전에도 보수 성향이 강한 동네가 되더니 3당 합당 이후로는 부산 전체가 보수 정당의 텃밭이 되면서 동래구도 아예 보수 정당의 텃밭이 되었다. 다만 20대 총선에서는 야권 후보 단일화에 실패하면서 이진복이 불과 42.5%밖에 안 되는 득표율로 당선되어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19대 대선에서는 이곳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자유한국당 홍준표를 상대로 37.7% : 33%로 4.7%p 차이로 꺾고 1위를 차지했었다. 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20대 총선 때 낙선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동래구청장에 당선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후에는 부산의 민심이 다시 보수화되면서, 동래구도 그 영향을 크게 받아 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김희곤 후보가 당선되었다. 다만 민주당 후보 박성현도 42.5%를 얻으며 선전함과 동시에 한 3당합당 이후 민주당계 정당 후보 최초로 한 동에서 이김으로써 소소한 성과를 거두었다. 2년 후의 20대 대선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상대로 59.8% : 36.6%로 23.2%p 차이로 꺾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완전히 보수 텃밭으로 돌아왔다. 참고로 이 지역구의 현역 국회의원 김희곤과 직전 국회의원 이진복 모두 친윤이고, 특히 이진복은 현재 윤석열 정부 정무수석비서관으로 재임하고 있다.

동래구가 2020년 27만을 돌파했지만 분할되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고층빌딩들과 아파트들이 곳곳에서 올라가고 있는 중이라 인구가 더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박관용
ta-hash-start=w-73e21337a0fffbbeb9922dc45bad3d38[[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동래구 갑
제14대
ta-hash-start=w-55e643e737da20b912037cce912305fb[[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3년 2월 27일
강경식1993년 4월 24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박관용
ta-hash-start=w-2ac7fe7378c8ad20a547a71864f62761[[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강경식동래구 을
제16대박관용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동래구
제17대이재웅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이진복
무소속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ta-hash-start=w-8a467964e1f06afdd7f4bfe539fdcd1b[[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김희곤
ta-hash-start=w-c1da4d224ec03ab266aab4b09586ce5e[[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2.1. 동래구 갑[2] (13대~14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래구 갑
수민동, 복산동, 명륜1동, 명륜2동,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경식(姜慶植)57,491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6.87%낙선
2박관용(朴寬用)93,5501위

ta-hash-start=w-0609154fa35b3194026346c9cac2a248[[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9.99%당선
3도상수(都相洙)4,8783위

ta-hash-start=w-b47809bcb0c94b9c28871773f9aaa6f4[[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12%낙선
선거인 수202,149투표율
77.70%
투표 수157,067
무효표 수1,148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래구 갑
수민동, 복산동, 명륜1동, 명륜2동,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관용(朴寬用)92,3531위

ta-hash-start=w-5d7b0538ea08741711041a1e67526b1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65.81%당선
2정인조(鄭寅祚)32,9022위


23.44%낙선
3김상훈(金相勳)15,0643위

무소속

10.73%낙선
선거인 수218,453투표율
65.16%
투표 수142,342
무효표 수2,023

2.1.3. 1993년 재보궐선거[편집]


동래구 갑
수민동, 복산동, 명륜1동, 명륜2동,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경식(姜慶植)72,3331위

ta-hash-start=w-ba3fe3d296f3e7269b66f163d31b3dc3[[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81.60%당선
2정인조(鄭寅祚)15,6672위


17.70%낙선
선거인 수218,453투표율
40.40%
투표 수88,537
무효표 수628

2.2. 동래구 갑/을 (15대)[편집]



2.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래구 갑
수민동, 복산동, 명륜1동, 명륜2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관용(朴寬用)42,7481위

ta-hash-start=w-e57023ed682d83a41d25acb650c877da[[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63.75%당선
2마청(馬淸)4,9843위
7.43%낙선
3노재철(盧在哲)15,8762위
23.67%낙선
4박종대(朴鍾大)3,4394위
5.12%낙선
선거인 수115,862투표율
59.24%
투표 수68,633
무효표 수1,586

동래구 을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경식(姜慶植)34,8421위
66.77%당선
2정상원(鄭相元)5,5773위
10.68%낙선
3정인조(鄭寅祚)11,7632위
22.54%낙선
선거인 수96,876투표율
55.31%
투표 수53,586
무효표 수1,404

2.3. 동래구 (16대~)[편집]



2.3.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래구
동래구 일원[동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관용(朴寬用)67,7421위
58.15%당선
2노재철(盧在哲)15,6663위
13.44%낙선
3유문현(柳文炫)2,8484위
2.44%낙선
4강경식(姜慶植)30,2392위
25.95%낙선
선거인 수216,062투표율
62.83%
투표 수117,949
무효표 수1,454

이 선거에서 당선된 박관용16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을 지내게 된다. 그리고...

2.3.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래구
동래구 일원[동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재웅(李在雄)76,2751위
57.27%당선
2조우섭(趙祐燮)1,6014위
1.20%낙선
3노재철(盧在哲)48,9642위
36.76%낙선
4임선백(林善白)6,3433위
4.76%낙선
선거인 수213,774투표율
62.83%
투표 수134,316
무효표 수1,133


2.3.3.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래구
동래구 일원[동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상원(鄭相元)9,9123위
9.73%낙선
2오세경(吳世俓)38,0872위
37.40%낙선
6박재은(朴栽誾)1,7484위
1.72%낙선
7이진복(李珍福)52,0921위
51.15%당선
선거인 수224,455투표율
45.85%
투표 수102,912
무효표 수1,073

18대 총선 부산 동래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오세경이진복
득표수
(득표율)
38,087
(37.40%)
52,092
(51.15%)
+14,005
(△13.75)
45.85%
수민동35.26%54.69%△13.4649.00
복산동32.22%52.21%△8.0146.17
명륜1동29.82%60.65%△24.8445.03
명륜2동35.94%55.04%△14.4345.67
온천1동39.29%54.88%△13.5447.94
온천2동39.60%56.48%△16.1949.43
온천3동37.39%57.47%△18.6045.82
사직1동42.62%57.53%△19.8940.29
사직2동38.09%60.17%△24.5643.26
사직3동36.01%58.76%△19.9446.39
안락1동38.36%56.82%△17.5542.60
안락2동37.36%54.26%△12.3441.68
명장1동33.92%55.29%△14.8742.20
명장2동32.78%53.30%△10.8939.89
후보오세경이진복격차
부재자투표53.73%43.56%▼24.82


2.3.4.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래구
동래구 일원[동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진복(李珍福)66,5481위
53.42%당선
2노재철(盧在哲)41,2312위
33.10%낙선
6박재완(朴宰完)2,2505위
1.80%낙선
7최찬기(崔贊起)10,6573위
8.55%낙선
8김칠두(金七頭)3,8664위
3.10%낙선
선거인 수230,082투표율
54.52%
투표 수125,432
무효표 수880
새누리당에선 현역 의원 이진복이 재선에 도전했고 민주통합당에선 노재철이 출마해 이진복과 맞붙었다. 그리고 진보신당에서도 박재완이 출마했고 동래구청장 출신이며 새누리당 공천 탈락에 대한 반발로 탈당한 최찬기가 무소속으로 출마했고 그 밖에 김칠두도 무소속으로 출마해 5인 간 대결로 치러졌다. 그러나 친여 무소속 최찬기의 득표율이 10%가 채 되지 않아 여권 분산 효과가 크지 않았고 노재철도 33.1% 득표에 그치며 53.4%를 득표한 이진복이 여유롭게 당선되며 재선에 성공했다.


2.3.5.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래구
동래구 일원[동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진복(李珍福)53,3711위
42.52%당선
2김우룡(金雨龍)30,1982위
24.06%낙선
3정상원(鄭相元)20,6174위
16.42%낙선
5박승환(朴勝煥)21,3093위
16.97%낙선
선거인 수227,516투표율
55.87%
투표 수127,111
무효표 수1,616

20대 총선 부산 동래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진복김우룡정상원박승환
득표수
(득표율)
53,371
(42.52%)
30,198
(24.06%)
20,617
(16.42%)
21,309
(16.97%)
+23,173
(△18.46)
55.87%
수·민동40.08%24.66%17.09%18.17%△13.4256.05
복·산동45.88%17.27%15.94%20.91%28.6155.09
명륜동38.50%27.14%17.21%17.15%△11.3657.46
온천1동45.46%21.53%14.77%18.24%△23.9345.17
온천2동45.94%19.43%16.14%18.48%△26.5155.69
온천3동42.59%23.41%16.99%17.01%△19.1852.24
사직1동45.95%22.90%16.32%14.83%△23.0554.18
사직2동36.14%29.13%19.14%15.58%△7.0159.32
사직3동48.52%21.79%14.88%14.81%△26.7352.31
안락1동44.13%21.75%14.94%19.18%△22.3852.85
안락2동44.34%24.11%15.78%15.77%△20.2355.91
명장1동47.52%20.62%13.84%18.02%△26.9050.48
명장2동45.63%21.31%15.33%17.73%△24.3252.37
후보이진복김우룡정상원박승환격차
거소·선상투표53.32%18.95%16.21%11.52%34.37
관외사전투표35.56%32.91%17.99%13.54%△2.65
국외부재자투표29.14%51.80%13.31%5.75%22.66
새누리당에선 3선에 도전하는 현역 의원 이진복이 출마했고 더불어민주당에선 김우룡[3]국민의당에선 정상원이 출마했다. 또 새누리당 공천 컷오프에 반발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한 박승환도 가세하여 여권 후보 2명, 야권 후보 2명의 4파전이 되었다. 선거기간 동안 야권 후보들 간의 단일화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결론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친여 무소속 박승환이 무려 17% 가까이 잠식하며 여권 표를 분산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이진복이 야권 후보 둘의 득표율을 합친 것(40.5%)보다 더 높은 득표율을 올리며 여유있게 당선되었다.


2.3.6.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래구
동래구 일원[동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성현(朴省炫)67,4302위
42.78%낙선
2김희곤(金熙坤)81,7221위
51.85%당선
6박재완(朴宰完)3,5284위
2.23%낙선
7손윤영(孫侖煐)1,0815위
0.68%낙선
8진성호(秦聖昊)3,8233위
2.42%낙선
선거인 수232,595투표율
68.53%
투표 수159,393
무효표 수1,809

21대 총선 부산 동래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성현김희곤
득표수
(득표율)
67,430
(42.78%)
81,722
(51.85%)
- 14,292
(▼9.07)
68.53%
수민동41.70%52.71%▼11.0166.91
복산동34.96%59.15%24.1968.28
명륜동44.71%50.59%▼5.8869.69
온천1동40.07%54.28%▼14.2157.71
온천2동35.96%59.07%▼23.1170.80
온천3동41.75%52.99%▼11.2461.16
사직1동43.54%51.94%▼8.4069.69
사직2동48.05%47.17%0.8871.72
사직3동42.32%52.80%▼10.4866.50
안락1동39.46%55.57%▼16.1167.25
안락2동42.49%52.45%▼9.9668.10
명장1동39.39%55.40%▼16.0166.62
명장2동39.21%55.67%▼16.5664.09
후보박성현김희곤격차
거소·선상투표42.94%43.12%▼0.18
관외사전투표53.91%38.84%△15.07
국외부재자투표63.72%31.16%32.56

동래구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후보박성현김희곤
동래 럭키23.22%72.58%▼49.36
안락 SK36.10%59.48%▼23.38
온천 반도보라 스카이뷰40.00%54.65%▼14.65
사직 KCC스위첸40.84%53.72%▼12.88
포레나 동래44.51%49.26%▼4.75
사직 삼정그린코아 1차44.02%49.12%▼5.10
사직 쌍용예가46.55%48.27%▼1.72
명륜 2차 아이파크 1단지47.44%47.63%▼0.19
안락 뜨란채 2단지47.59%46.58%△ 1.01
더불어민주당 박성현 후보는 부산대 총학생회장으로 민주화 운동으로 옥고를 치른 경력을 가진 정치인. 미래통합당 김희곤 후보는 이진복 국회의원 보좌관 출신이다. 동래구에서 18-20대 내리 3선을 지낸 같은 당 현역인 이진복 의원이 불출마하자 그 지역구를 물려받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 있다.

대체로 선거구민들의 연령대가 높아 보수세가 강하고 1970년대 이후 지금까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계속 보수정당 후보를 당선시켜 한 번도 진보계 정당 후보가 당선된 적이 없다. 하지만 최근의 대통령선거지방선거에서 진보여당 표가 보수야당 표보다 더 많이 나왔고 재개발 완료로 다소 주민 유입도 있어서 변화가 예상된다.

또 김희곤 후보는 현역 의원의 보좌관 출신이라는 후광과 이진복의 조직이 있어 여론조사에서도 앞서갔다.

이를 반영했듯이 비록 김희곤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득표율 9.07%차로 3당 합당 이후 치른 총선에서 민주당계 후보와 보수정당 후보의 격차가 가장 적었으며, 진성호 후보의 표를 합쳐도 11%로 노무현 탄핵이라는 초유의 사건 이후 치러진 17대 총선의 득표율 차보다 더 적었다.

추가로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사직2동에서 131표 차이로 이김으로써 3당 합당 이후 동래구에서 치른 국회의원 선거 사상 최초로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이기는 동이 생겼다. 이밖에 명륜동[4]가 상대적으로 접전이 일어난 곳이었다.


2.3.7.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래구
동래구 일원[동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현재의 동래구[2] 현재의 동래구[동래] A B C D E F G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3] 2018년 현재 동래구청장[4] 728표 차